아동학대란?
훈육을 위해 무심코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체벌은 효과가 없습니다.
일시적으로 순종할 수 있으나 반항심과 적개심이 생기거나 자존감 하락,열등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시) 신체의 일부를 잡아당기거나 흔들고 벌을 세우는 등
Tip. 아이의 행동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마음으로 눈높이를 맞춰 이야기하세요.
잘못된 행동은 단호한 어조로 이야기하고 긍정적 행동에는 칭찬해 주세요.
성에 대한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로 성인들의 성적 행동에 관한 모습이나 영상에 대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이해될수 있습니다.
예시) 신체부위를 만지거나 음란물 시청, 성적 수치심을 주는 언행 등
Tip. 아이의 몸에 대한 소중함을 가정뿐만 아니라 바깥에서도 부모가 소중하게
지켜주는 모습을 통해 아이들은 자좀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비난, 무시, 적대적인말 등은 모멸감과 자존감을 저하 시킬 수 있습니다.
예시) 또래 친구와 비교, 형제·자매와 차별 및 편애, 부부싸움 노출, 집 밖으로 내쫓는 행위 등
Tip. 아이의 행동에 문제가 있음에 알려주되, 위협감을 느끼지 않도록 표현해야 합니다.
문제행동이나 상황에 대해서만 집중하여 언성을 높이지 않고 행동을
바로잡을 수 있게 부모의 생각을 분명하고 차분하게 표현합니다.
부모의 무책임한 행동은 아이의 건전한 성장 발달을 저해하는 행동입니다.
유아기부터 부모에게 사랑을 받지 못하게 되면 우울증과 자괴감을 경험하게 되며 자기혐오등의 부적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시) 세탁하지 않은 옷 또는 계절에 맞지 않은 옷을 입히는 행위, 아이만 두고 집을 나가는 행위, 예방 접종을 하지 않는 행위 등
Tip. 아이를 혼자 두지 마세요. 아이의 상황에 관심을 갖고 아이를 위해 즐겁고 소중한
경험을 많이 나누어 주시고, 아이와 많은 시간을 함께해주세요.
가정적·사회적 요인은 가족관계 및 구조의 문제, 사회 전반의 분위기 등이 포함되며, 이 요인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
신체적 징후 | 행동적 징후 |
---|---|
설명하기 어려운 신체적 상흔 발생 및 회복에 시간차가 있는 상처 비슷한 크기의 반복적으로 긁힌 상처 사용된 도구의 모양이 그대로 나타나는 상처 담배 불 자국, 뜨거운 물에 잠겨 생긴 화상자국 긁히거나 물린 자국에 의한 상처 손목이나 발목에 긁힌 상처 영유아에게 발견된 붉게 긁힌 상처 성인에 의해 물린 상처 겨드랑이, 팔뚝 안쪽, 허벅지 안쪽 등 다치기 어려운 부위의 상처 복잡한 두부 손상 영・유아의 긴 뼈에서 나타나는 간단 골절, 회전상 골절, 걷지 못하는 아이에게서 나타나는 대퇴골절 |
어른과의 접촉회피 다른 아동이 울 때 공포를 나타냄 공격적이거나 위축된 극단적 행동 부모에 대한 두려움 집에 가는 것을 두려워함 위험에 대한 지속적인 경계 |
신체적 징후 | 행동적 징후 |
---|---|
발달지연 및 성장장애 신체발달저하 |
특정물건을 계속 빨고 있거나 물어뜯음 행동장애(반사회적, 파괴적 행동장애) 신경성 기질 장애(놀이장애) 정신신경성 반응(히스테리, 강박, 공포) 언어장애 극단행동, 과잉행동, 자살시도 실수에 대한 과잉 반응 부모와의 접촉에 대한 두려움 |
신체적 징후 | 행동적 징후 |
---|---|
신체적 지표 학령 전 아동의 성병감염임신 생식기의 증거 아동의 질에 있는 정액찢기거나 손실된 처녀막 질에 생긴 상처나 긁힌 자국 질의 홍진(紅疹) 배뇨곤란 요도염 생식기의 대상포진 항문증후 항문 괄약근의 손상항문주변의 멍이나 찰과상 항문 내장이 짧아지거나 뒤집힘 항문 입구에 생긴 열창 항문이 좁아짐 회음부의 동통과 가려움 변비 대변에 혈액이 나옴 구강증후 입천장의 손상인두(咽頭)임질(pharyngeal gonorrhea) |
성적 행동지표 나이에 맞지 않는 성적행동해박하고 조숙한 성지식 명백하게 성적인 묘사를 한 그림들 타인과의 성적인 상호관계 동물이나 장난감을 대상으로 하는 성적인 상호관계 비(非)성적인 행동지표 위축, 환상, 유아적 행동(퇴행행동)자기 파괴적 또는 위험을 무릅쓴 모험적인 행동 충동성, 산만함 및 주의집중장애 혼자 남아 있기를 거부 또는 외톨이계 특정 유형의 사람들 또는 성에 대한 두려움 방화/동물에게 잔혹함(주로 남아의 특징) 비행, 가출 약물 및 알콜 남용 자기 파괴적 행동(자살시도) 범죄행위 우울, 불안, 사회관계의 단절 수면장애 유뇨증/유분증 섭식장애(폭식증/거식증) 야뇨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저조한 학업수행 |
신체적 징후 | 행동적 징후 |
---|---|
발달지연 및 성장장애 비위생적인 신체상태 예방접종과 의학적 치료 불이행으로 인한 건강상태 불량 아동에게 악취가 지속적으로 나는 경우 |
계절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옷차림 음식을 구걸하거나 훔침 비행 또는 도벽 학교에 일찍 등교하고 집에 늦게 귀가 지속적인 피로 또는 불안정감 호소 수업 중 조는 태도 잦은 결석 |